• 주제: 성경, 그리고 제국

  • 강의 내용: 성경 속의 언어와 역사, 그리고 종교와 문화는 세상과 동떨어진 곳에서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라 성경이 그려내고 있는 시대 속에서 형성된 것입니다. 성서는 문자로 전달되는 정보 그 자체 뿐만 아니라 당대의 언어와 문화, 그리고 역사적인 상황을 이해하는 데에서 시작될 수 있습니다. 그래서 본 강좌에서는 성서 내용과 관련되어 있는 고대 근동의 역사와 문화, 그리고 종교 등을 조망해 보면서 성서의 메시지를 보다 깊게 이해해 보고자 합니다.

  • 개강: 9월 8일 (목)

  • 강의 계획

    • 1과 언어의 기원과 히브리어 - 성경의 언어는 어떻게 형성된 것일가? 아브라함과 모세는 어떤 말을 사용했을까?
      • 1강 (9/8) 바벨탑 이야기와 언어 (김경식 박사)
      • 2강 (9/15) 알파벳의 기원 (임미영 박사)
    • 2과 창조와 홍수 이야기 - 성경이 전달하고 있는 창조와 홍수 이야기의 중요한 메시지는 무엇인가? 고대 근동의 창조와 홍수 이야기들(에누마 엘리쉬, 아트라하시스, 길가메쉬 서사시)과 성경의 이야기는 어떤 관계를 이루고 있는가?
      • 3강 (9/22) 성경의 창조와 홍수 (김경식 박사)
      • 4강 (9/29) 고대 근동 문헌에 나타난 창조와 홍수 이야기 (임미영 박사)
      • 10/6 브레이크
    • 3과 출애굽 - 성경에 나타난 이집트의 종교, 문화적 영향은 무엇인가? 이집트는 이스라엘에게 어떤 영향을 끼쳐왔는가?
      • 5강 (10/13) 성경에 나타난 출애굽과 이스라엘의 기원 (김경식 박사)
      • 6강 (10/20) 이집트의 종교와 문화 (임미영 박사)
      • 7강 (10/27) 이집트의 종교와 문화2 (임미영 박사)
    • 4과 하나님의 집 - 성경에 나타난 성전의 유일성은 무엇인가?
      • 8강 (11/3) 성경의 성막, 그리고 성전 (김경식 박사)
    • 5과 바알과 아세라 - 바알과 아세라는 어떠한 신인가? 가나안 땅에는 어떤 신들이 존재했을까? 이런 가나안의 종교들이 이스라엘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?
      • 9강 (11/10) 성경에 나타난 종교 혼합주의 (김경식 박사)
      • 10강 (11/17) 가나안의 바알과 아세라 숭배 (임미영 박사)
      • 11강 (11/20) 현장학습 - 오후 2시. 국립중앙박물관